챗GPT 사용해 업무 능력 향상하려다 민감한 정보와 기밀까지 입력해
챗GPT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회사의 기밀과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대형언어모델(Large Language Model, LLM)알고리즘에 제공하고 있었습니다.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에 정보를 제공할 시 윤리적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,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.
챗GPT 사용해 업무 능력 향상하려다 민감한 정보와 기밀까지 입력해, 보안뉴스, 2023-03-08
KISA,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지원 공모... 최대 80% 수수료 지원
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신청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‘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지원 공모’를 통해 수수료를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. 기존 인증제도에서 평가기준이 없는 신기술 및 융·복합제품에 대해 신속하게 보안성을 심의해 공공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으며, 이를 통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정보보호벤처기업이 시장변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
KISA,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지원 공모... 최대 80% 수수료 지원, 보안뉴스, 2023-03-09
달라질 개인정보보호법, 기대 속 작은 우려도
지난 2월27일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습니다. 이번 개정안은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둔 뒤 9월15일부터 시행됩니다. 이번 개정법의 핵심 내용에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및 인공지능(AI)에 의한 자동화 결정에 대한 거부 또는 설명 요구권 추가, 자율주행이나 로봇, 드론 등 이동형 영상정보처리기기에 대한 기준 마련, 과징금 제도 개편 등이 있습니다.
달라질 개인정보보호법, 기대 속 작은 우려도, 디지털데일리, 2023-03-10
3월 3주차 보안 알리미 (0) | 2023.03.17 |
---|---|
3월 1주차 보안 알리미 (0) | 2023.03.03 |
2월 4주차 보안 알리미 (0) | 2023.02.24 |
2월 2주차 보안 알리미 (0) | 2023.02.10 |
2월 1주차 보안 알리미 (0) | 2023.02.03 |
댓글 영역